쉽게 이해하는 신학 개념

삼위일체 7 : 삼위일체의 신비와 신앙의 적용

thelmaoath 2025. 5. 7. 08:23
728x90
반응형
SMALL

 

 

1. 삼위일체의 신비성(개혁주의 시각 중심)

삼위일체는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신비로 개혁주의 전통에서는 강조됨.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한 분이시지만, 세 위격—성부, 성자, 성령—으로 영원히 존재하심. 이 교리는 많은 성경구절에서 암시적으로 혹은 명시적으로 나타남. 다음은 개혁주의 전통에서 삼위일체의 신비를 뒷받침하는 성경구절들임:

(1) 하나님의 ‘신비’로서의 삼위일체:

  • 로마서 11:33: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부요함이여! 그의 판단은 헤아리지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
    → 하나님의 본성과 경륜은 인간의 이성으로 온전히 측량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삼위일체가 하나님의 신비로 간주됨.

 

  • 디모데전서 3:16: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 그 mystery는 이러하니… 하나님이 육신으로 나타나시고…”
    → 삼위일체 교리는 ‘경건의 비밀(mystery of godliness)’로 간주되며, 성자 예수님의 성육신은 삼위일체 안에서 벌어진 역사적 사건임.

2. 삼위일체 신앙의 실제 적용 (일상, 예배, 기도, 관계)

삼위일체 교리는 단지 철학적 사변이 아니라 신자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실제적 진리임.

(1) 일상 생활:

  • 성부께 순종하며 살아가는 삶: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뜻을 성경에 근거하여 구하며 분별하며 행함
  • 성자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며 죄를 고백하고 매일 예수님께 기도로 나가는 그리스도 중심의 삶
  • 성령의 내주하심을 따라 매일 인도를 받아 예수님께 영광돌리며 궁극적으로는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과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성경에서 말하는 참된 열매(성품 등) 맺는 삶을 살아야 함 (갈 5:22–25)

(2) 예배:

  • 하나님을 ‘삼위’ 하나님으로 인식하며 예배함 (요 4:24: “영과 진리로 예배하라”)
  • 전통적 개혁주의 예배 순서: 성부께 드리되, 성자의 이름으로, 성령의 능력 안에서 드리는 예배

(3) 기도:

  • 전통적 개혁주의 이해:
    성부께, 성자를 통하여, 성령 안에서” 드리는 것이 일반적 틀임
    → 예: 에베소서 2:18 “이는 그로 말미암아 우리 둘이 한 성령 안에서 아버지께 나아감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 마틴 로이드 존스(목사)의 강조점:
    강해설교의 한 획을 그은 마틴로이드 존스 목사는, 성부, 성자, 성령 각각의 위격에게 기도하는 것도 가능하고 적절하다고 주장함. (각각의 Person에게 동일한 영광과 감사를 올려야 한다 설명) 즉, 하나님은 세 위격 모두 인격적으로 교제할 수 있는 분이시기 때문에, 특정 필요나 상황에 따라 성자께, 혹은 성령께 직접 기도할 수도 있다고 봄.

 

  • 다른 교파의 관점:
    • 로마 가톨릭: 성부께 드리되, 성자의 공로로, 성령 안에서 기도함. 삼위 중 하나에게 직접 기도하는 것은 특별한 경우 제외하고는 일반적이지 않음.
    • 동방정교회: 전통적으로 성부께 기도하지만, 성자 예수께 찬양이나 간청을 드리는 기도문도 자주 사용함. 성령께 드리는 기도도 존재함.
    • 오순절/카리스마틱 교회: 성령과의 친밀한 교제를 강조하며 성령께 직접 기도하거나 성령의 임재를 구하는 기도가 흔함. (삼위 하나님 중 예수님만 강조한다던가, 성령님만을 너무 강조하는 것은 위험함
    • 개혁주의 (칼빈주의): 전통적으로는 성부께 드리는 기도가 중심이나, 특정 상황에서는 성자나 성령께도 기도할 수 있다고 허용하는 견해도 있음. 다만 중심은 여전히 “성부를 향한 기도”에 있음.

3. 결론 및 신자의 기도 실천 요약

  • 삼위일체는 성경적으로 명시되며, 인간 이성으로는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는 신비임.
  • 신자는 이 교리를 받아들이며, 삶과 예배, 기도, 공동체 안에서 실천적으로 살아내야 함.
  • 기도는 전통적으로 성부께 드리는 것이 중심이지만, 삼위 모두가 인격적 교제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성자나 성령께 직접 기도하는 것도 가능함.
  • 마틴 로이드 존스의 견해는 삼위 하나님의 인격성과 교통 가능성을 강조한 신학적으로 의미 있는 접근이며, 많은 복음주의 전통에서 수용 가능하지만, 보수적 교파에서는 제한적으로 수용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