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2025/05/07 6

삼위일체 7 : 삼위일체의 신비와 신앙의 적용

1. 삼위일체의 신비성(개혁주의 시각 중심)삼위일체는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신비로 개혁주의 전통에서는 강조됨.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한 분이시지만, 세 위격—성부, 성자, 성령—으로 영원히 존재하심. 이 교리는 많은 성경구절에서 암시적으로 혹은 명시적으로 나타남. 다음은 개혁주의 전통에서 삼위일체의 신비를 뒷받침하는 성경구절들임:(1) 하나님의 ‘신비’로서의 삼위일체:로마서 11:33: “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부요함이여! 그의 판단은 헤아리지 못할 것이며 그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 하나님의 본성과 경륜은 인간의 이성으로 온전히 측량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삼위일체가 하나님의 신비로 간주됨. 디모데전서 3:16: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 그 mystery는 이러하니… ..

삼위일체 6 : Q&A 성령께서 예수님께 인도하시고, 예수님은 죄를 사하여서 택하신 받은 우리를 하나님께 인도하는 과정으로 구원이 순차적인 현상이라면 우리는 성령께 기도를 해야하는 건가요?

Q: i) 성령께서 택함받은 자들을 예수께 인도하고 예수에게 영광돌리게 하며,ii) 예수님은 십자가의 보혈로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비로소 죄 씻음을 받은 택한자는 하나님과의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과정으로 구원이 순차적인 현상이라면, 구원의 출발점인 성령이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성령께 기도를 해야하는 건가요? A) 구속의 여정은 우리 인간의 인식상 어떤 순서를 따라 일어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곧,성령 → 예수 그리스도 → 하나님 아버지 라는 방향으로 구원의 경험이 진행되는 것처럼 느껴짐. 이는 요한복음 16:13–14에서 잘 드러남:“그러하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내 것을 ..

삼위일체 5 : 인간의 구원과 죄사함에 있어 삼위일체 하나님

삼위일체 하나님은 죄인을 어떻게 구원하시는가? 성부, 성자, 성령께서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Redemptive History) 안에서 각각의 독특한 역할을 하시면서도기능적 순서는 존재하지만 시간적 분리나 계급구조에 따른 구원이 아닌 하나의 커다란 계획 안에서 각 위격이 각자의 독특한 방식으로 합심하여 택하신 백성을 구원하심 1. 성부 하나님: 구속사의 기획자 (The Father: The Architect of Redemption)성부는 구속 계획을 세우시고 예정하심성경적 근거:에베소서 1:4–5“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그 기쁘신 뜻대로 예정하셨으니”요한복음 3: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성부는 창세 전부터 택하신 자들을 구원하시기로 작정하..

삼위일체 4: 신학의 발전 (니케아 공회 ~ 중세 ~ 현대)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니케아 이후부터 중세, 종교개혁, 그리고 현대까지1. 니케아 이후: 삼위일체 교리의 공고화⦿ 니케아 신경 (325년)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381년)아리우스 논쟁에 대응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확립함: “성자는 성부와 동질(ὁμοούσιος)임.”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성령의 신성까지 포함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완성된 신경으로 정식화함.“우리는 한 하나님을 믿으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믿는다”라는 삼위일체적 신앙 고백이 전통의 중심이 됨.2. 중세 시대: 이론적 정교화⦿ 토마스 아퀴나스 (1225–1274)아우구스티누스를 계승하여 삼위일체 내적 관계를 철학적으로 정리함.하나님 본질 내에서 지성과 의지에 따른 ‘말씀’(로고스)과 ‘사랑’(성령)의 발출을 설..

삼위일체 3 : Tertullian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니케아 신경 이전까지)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과 다른 사조들과의 논쟁1.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은 점진적으로 정교화되고 체계화되었으며, 특히 교부 시대를 거치며 정통 교리로 확립됨.⦿ 카파도키아 교부들 (4세기)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삼위일체 교리를 **“한 본질, 세 위격” (μία οὐσία, τρεῖς ὑποστάσεις)**로 명확히 정리함.이들은 “하나님은 본질상 하나이며, 위격상 셋”이라는 논리를 통해 아리우스주의와 사벨리우스주의를 반박함.이 개념은 니케아 신경(325년)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381년)**에 결정적으로 반영됨.⦿ 아우구스티누스 (354–430)『삼위일체론(De Trinitate)』에서 삼위일체를 ..

Tertullian (테르툴리안) : 삼위일체 신학의 기반 / 기독교 변증론의 태동

테르툴리안(Tertullian)은 누구인가?테르툴리안(Tertullian, 약 155–220년경)은 초기 기독교 라틴 교부(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서방 교회 역사상 최초로 삼위일체 교리를 본격적으로 정리한 신학자임. 그는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출신이며, 법률가로서 훈련받은 논리적인 사고와 라틴어 문장력으로 교리를 체계화한 인물임. [무엇이 로마 시민이었던 Tertullian을 기독교로 개종하게 했는가?] 1. 테르툴리안의 기독교 개종 : 테르툴리안의 회심과 그 영향 테르툴리안은 원래 이교도 철학과 법률학을 공부한 로마 시민으로, 젊은 시절에는 헬레니즘적 사고와 로마 법률 체계에 깊이 익숙한 사람이었음. 그는 당시 로마 사회의 부패와 비도덕성, 그리고 무력한 철학적 종교들에 회의를 품고 있었음. 그의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