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arianism 2

삼위일체 3 : Tertullian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니케아 신경 이전까지)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과 다른 사조들과의 논쟁1.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은 점진적으로 정교화되고 체계화되었으며, 특히 교부 시대를 거치며 정통 교리로 확립됨.⦿ 카파도키아 교부들 (4세기)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삼위일체 교리를 **“한 본질, 세 위격” (μία οὐσία, τρεῖς ὑποστάσεις)**로 명확히 정리함.이들은 “하나님은 본질상 하나이며, 위격상 셋”이라는 논리를 통해 아리우스주의와 사벨리우스주의를 반박함.이 개념은 니케아 신경(325년)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381년)**에 결정적으로 반영됨.⦿ 아우구스티누스 (354–430)『삼위일체론(De Trinitate)』에서 삼위일체를 ..

삼위일체 2 : 신학 형성 초기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과 발전, 이단들의 왜곡과 그 결과, 그리고 교부들의 상세 논쟁, 나아가 삼위일체와 구속사(redemptive history)의 관계까지 순차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겠음.1.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과 발전 과정1) 신약 성경의 암시 (Implicit Foundation)삼위일체라는 단어는 없지만, 하나님의 세 위격이 여러 곳에서 함께 등장함:마 28:19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고후 13:13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초대교회는 이 구조를 “체험”하면서 교리를 정리할 필요를 느낌2) 교부 시대의 신학적 정립터툴리안 (Tertullian, 155–220): 최초로 “삼위일체(Trinitas)”라는 용어 사용. “하나의 본질(s..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