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2025/05/13 13

예수님의 열두 제자 시리즈 : Part 8 (유다 다대오, Judas Thaddaeus)

예수님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유다 다대오(Judas Thaddaeus)**에 대해 성 특히 요한복음 14:22에서 예수께 질문한 장면에 집중하여, 그의 믿음의 변화, 성품, 죽음, 그리고 오늘날 그에게서 배울 교훈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서술하겠음: 1. 유다 다대오(Judas Thaddaeus)는 누구였는가?1) 이름과 의미히브리어 이름: 유다(Judah, יוּדָה) → “찬양하다, 하나님을 찬양함”이라는 뜻임.별명/다른 이름들:유다 다대오(Judas Thaddaeus): 다대오는 “마음이 따뜻한” 또는 “용감한 자”라는 의미로 추정됨.‘레바이오’(Lebbaeus): 어떤 사본에는 이렇게 불림 (마 10:3).“야고보의 아들 유다”(눅 6:16, 행 1:13): 이는 그를 예수의 배신자인 가룟 유..

예수님의 열두 제자 시리즈 : Part 7 : 열심 당원 시몬 Simon the Zealot

시몬 (Simon the Zealot)은 예수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그에 대해 성경에서 기록된 정보는 많지 않지만, 그의 배경과 변화는 매우 의미 있는 부분임. 시몬에 대해 성경에 언급된 내용과 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우리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음.📜 시몬에 대한 성경적 배경1. 시몬의 기본 정보이름: 시몬 (Simon) 또는 시몬 게레네 사람 (Simon the Zealot), 시몬은 (히브리어로 שמעון, “듣는 자”라는 뜻)별명/호칭: "열심당원" 혹은 "시몬 열심당원" (Zealot)가족 배경: 가족에 대한 정보는 성경에서 자세히 언급되지 않음.나이와 교육 배경: 나이나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기록되어 있지 않음. 그러나 당시의 ..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은혜와 자비의 불가분성에 대한 성경 예시

자비(mercy)와 은혜(grace)를 동시에 나타내신 성경적 사례📖 자비와 은혜가 동시에 나타나는 성경 사례들1. 출애굽 사건 (출애굽기 34:6–7)“여호와께서 그의 앞으로 지나시며 선포하시되…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 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라…”자비: 애굽의 압제에서 구출하심은혜: 율법을 주시고 하나님 백성으로 삼으심이 구절은 구약 전체에서 하나님의 성품을 요약하는 핵심 선언임2. 다윗의 회개 (시편 51편)“하나님이여 주의 인자를 따라 내게 은혜를 베푸시며, 주의 많은 긍휼을 따라 내 죄악을 지워 주소서”다윗은 **은혜(hen)**와 **긍휼(rachamim)**을 함께 구함자비는 죄의 형벌을 면하게 하고, 은혜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게 함3. 예수님의 십자가 (로마서 5:..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 자비와 은혜의 작용 순서 (어느 것이 먼저인지?)

구원이라는 측면에서 죄에 대한 용서에 대한 자비 그 이후에 은혜를 통한 구원순으로 보이는데, 자비와 은혜의 관계는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 자비와 은혜가 구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1. 표면상의 순서 vs. 본질상의 동시성표면적으로 보면, “자비로 죄를 용서받고(불쌍히 여김),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받을 자격 없는 선물)”는 시간 순서처럼 보일 수 있음하지만 성경적 구속의 흐름에서 자비와 은혜는 분리되지 않고 동시에 작용함“긍휼하심을 따라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베드로전서 1:3)“너희가 그 은혜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에베소서 2:8)2. 성경적 정의와 구속에서의 역할 구분자비(Mercy)은혜(Grace)의미받을 만한 형벌을 면하게 함받을 자격 없는 축복을 주..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 교회사 속 자비(Mercy)의 왜곡 사례

자비(Mercy)를 오용하거나 왜곡한 교회사적 사례들과, 그 왜곡을 바로잡으려 했던 개혁자들 및 운동들의 예임📜 1. 교회사에서 자비(Mercy)의 왜곡 사례들① 중세 가톨릭 교회 – 면죄부(Indulgences)의 오용왜곡 내용: 중세 로마 가톨릭은 “하나님의 자비”를 금전적 거래 수단으로 전락시킴면죄부 판매: 고통받는 자나 죽은 자의 연옥에서의 시간을 줄여주겠다는 이름으로 돈을 주고 자비를 얻는 것처럼 설교함결과: 자비가 하나님의 거저 주시는 긍휼이 아니라 행위와 돈으로 얻는 것으로 왜곡됨“돈이 헌금함에 떨어지면, 영혼이 연옥에서 풀려난다” – 요한 테첼(Johann Tetzel) ② 번영신학(Prosperity Gospel)의 왜곡왜곡 내용: 자비를 육체적 질병이나 가난을 해결해주는 수단으로 제한..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 자비 (Mercy)

📖 1. 자비(Mercy)의 성경적 정의✅ 성경적 의미자비(히브리어: racham, chesed / 헬라어: eleos)는 고통받는 자를 향한 하나님의 긍휼과 동정임공의에 따라 마땅히 심판받아야 할 죄인에게 형벌을 유보하거나 면제해주는 하나님의 마음임🕎 2. 구약에서의 자비✅ 특징하나님의 자비는 **언약에 근거한 사랑(chesed)**으로 표현됨죄인 된 이스라엘 백성에게 끊임없는 용서와 참으심으로 나타남예:출애굽기 34:6 – “여호와는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시편 103:8-13 – 자비는 아버지가 자식을 불쌍히 여기는 것과 같음✝️ 3. 신약에서의 자비✅ 특징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자비 (마 9:13, 눅 1:78)병자, 귀신들린 자, 세..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 교회사 속 은혜의 왜곡 사례 및 개혁주의 입장

교회사 속 은혜의 왜곡 역사와, 개혁신학이 어떻게 참된 은혜를 지키려 했는지 알아보고 자 함 1. 교회사 속 은혜 왜곡의 역사① 중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왜곡**은혜는 성례(sacraments)를 통해 교회가 "공급"**하는 것으로 여겼음세례, 고해, 미사, 고행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은혜를 받아야" 했음구원은 은혜 + 공로(cooperative grace) 개념으로 설명됨➡️ 결국 은혜가 하나님의 자유로운 선물이 아닌, 교회 제도 안에서 관리되는 통로로 전락함 ② 루터와 종교개혁: Sola Gratia (오직 은혜)마르틴 루터는 로마서 3장–5장에서 은혜의 본질을 회복함“우리는 오직 은혜로,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의 의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다.”하나님은 죄인에게 선행(인간의 노력) 없이 은혜를 주시는..

성경속 기본 개념/단어 이해 : 값싼 은혜와 값비싼 은해

1) “값싼 은혜(cheap grace)”와 “참된 은혜(costly grace)”의 차이와2) 은혜와 책임의 균형,3) 그리고 오늘날 특정 교파들이 어떻게 은혜를 왜곡하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음.- 번영신학(Prosperity Gospel), 신사도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오순절주의(Pentecostalism)**의 은혜 📌 1. 값싼 은혜 vs 참된 은혜 – 본회퍼의 정의✅ 값싼 은혜란?디트리히 본회퍼는 *《나를 따르라》*에서 이렇게 말했음: (비성경적 은혜) “값싼 은혜는 제자도 없는 은혜이며, 십자가 없는 은혜이며, 살아계신 예수 그리스도 없는 은혜임.”회개 없는 용서삶의 변화나 순종 요구 없음죄를 대수롭지 않게 여김구원은 받았지만, 거룩은 선택사항처럼 여김교..

성경 기본 개념/단어 이해: 성경 속 은혜의 (인식적) 발전 史

“하나님의 은혜가 성경 전체에서 어떻게 점진적으로 발전되며 인간에게 인식되었는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음 📜 1. 창세기: 은혜의 시초 – 조건 없는 선택노아 (창 6:8): “그러나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를 입었더라”→ 세상이 악으로 가득 찼을 때, 노아는 하나님의 호의(ḥēn)를 입어 구원받음→ 자격이 있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으로 은혜가 주어짐 아브라함 (창 12:1–3; 15:6)→ 아브라함은 율법 이전에 하나님을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음→ 바울은 이것을 구원의 은혜의 원형으로 해석함 (롬 4장)📜 2. 출애굽기–신명기: 은혜의 언약적 확장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은혜로 구출하심 (출 20:2)→ 구원은 은혜, 율법은 그에 대한 응답이었음신명기 7:7–8“여호와께서 너희를 ..

성경 기본 개념/단어의 이해: 구약에서의 은혜와 신약에서의 은혜 (본질적으로 동일)

Q: 성경이 하나님의 통일된 계시로서 모순되지 않는다면, 구약과 신약의 ‘은혜’ 개념은 본질적으로 일치해야 하는데요, 구약에서의 은혜와 신약에서의 은혜는 서로 정확히 일치하나요? 그런데 왜 예수님 당시 유대인들이 인식한 은혜와 사도바울이 인식한 은혜에는 차이가 있었을 까요? 구약과 신약의 ‘은혜’ 개념은 본질적으로 일치해야 함. 다만 계시의 진행에 따라 그 은혜의 형태와 명확성은 점차 드러나는 방식으로 발전했음(이는 하나님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이해와 인식의 문제 였음). 이제 구약 저자들과 바울이 말한 ‘은혜’가 어떻게 동일한지를 성경적, 신학적으로 설명하겠음. 1. 하나님은 항상 은혜의 하나님이셨음 (불변성)출애굽기 34:6 — “여호와로라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 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