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2025/05 22

삼위일체 6 : Q&A 성령께서 예수님께 인도하시고, 예수님은 죄를 사하여서 택하신 받은 우리를 하나님께 인도하는 과정으로 구원이 순차적인 현상이라면 우리는 성령께 기도를 해야하는 건가요?

Q: i) 성령께서 택함받은 자들을 예수께 인도하고 예수에게 영광돌리게 하며,ii) 예수님은 십자가의 보혈로 우리의 죄를 사하시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비로소 죄 씻음을 받은 택한자는 하나님과의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과정으로 구원이 순차적인 현상이라면, 구원의 출발점인 성령이 어떻게 보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성령께 기도를 해야하는 건가요? A) 구속의 여정은 우리 인간의 인식상 어떤 순서를 따라 일어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곧,성령 → 예수 그리스도 → 하나님 아버지 라는 방향으로 구원의 경험이 진행되는 것처럼 느껴짐. 이는 요한복음 16:13–14에서 잘 드러남:“그러하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그가 내 것을 ..

삼위일체 5 : 인간의 구원과 죄사함에 있어 삼위일체 하나님

삼위일체 하나님은 죄인을 어떻게 구원하시는가? 성부, 성자, 성령께서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Redemptive History) 안에서 각각의 독특한 역할을 하시면서도기능적 순서는 존재하지만 시간적 분리나 계급구조에 따른 구원이 아닌 하나의 커다란 계획 안에서 각 위격이 각자의 독특한 방식으로 합심하여 택하신 백성을 구원하심 1. 성부 하나님: 구속사의 기획자 (The Father: The Architect of Redemption)성부는 구속 계획을 세우시고 예정하심성경적 근거:에베소서 1:4–5“곧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택하사... 그 기쁘신 뜻대로 예정하셨으니”요한복음 3:16“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성부는 창세 전부터 택하신 자들을 구원하시기로 작정하..

삼위일체 4: 신학의 발전 (니케아 공회 ~ 중세 ~ 현대)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니케아 이후부터 중세, 종교개혁, 그리고 현대까지1. 니케아 이후: 삼위일체 교리의 공고화⦿ 니케아 신경 (325년)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381년)아리우스 논쟁에 대응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신성을 확립함: “성자는 성부와 동질(ὁμοούσιος)임.”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성령의 신성까지 포함하여 삼위일체 교리를 완성된 신경으로 정식화함.“우리는 한 하나님을 믿으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을 믿는다”라는 삼위일체적 신앙 고백이 전통의 중심이 됨.2. 중세 시대: 이론적 정교화⦿ 토마스 아퀴나스 (1225–1274)아우구스티누스를 계승하여 삼위일체 내적 관계를 철학적으로 정리함.하나님 본질 내에서 지성과 의지에 따른 ‘말씀’(로고스)과 ‘사랑’(성령)의 발출을 설..

삼위일체 3 : Tertullian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니케아 신경 이전까지)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과 다른 사조들과의 논쟁1. 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테르툴리안 이후, 삼위일체 신학은 점진적으로 정교화되고 체계화되었으며, 특히 교부 시대를 거치며 정통 교리로 확립됨.⦿ 카파도키아 교부들 (4세기)바실리우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삼위일체 교리를 **“한 본질, 세 위격” (μία οὐσία, τρεῖς ὑποστάσεις)**로 명확히 정리함.이들은 “하나님은 본질상 하나이며, 위격상 셋”이라는 논리를 통해 아리우스주의와 사벨리우스주의를 반박함.이 개념은 니케아 신경(325년)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381년)**에 결정적으로 반영됨.⦿ 아우구스티누스 (354–430)『삼위일체론(De Trinitate)』에서 삼위일체를 ..

Tertullian (테르툴리안) : 삼위일체 신학의 기반 / 기독교 변증론의 태동

테르툴리안(Tertullian)은 누구인가?테르툴리안(Tertullian, 약 155–220년경)은 초기 기독교 라틴 교부(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서방 교회 역사상 최초로 삼위일체 교리를 본격적으로 정리한 신학자임. 그는 북아프리카 카르타고 출신이며, 법률가로서 훈련받은 논리적인 사고와 라틴어 문장력으로 교리를 체계화한 인물임. [무엇이 로마 시민이었던 Tertullian을 기독교로 개종하게 했는가?] 1. 테르툴리안의 기독교 개종 : 테르툴리안의 회심과 그 영향 테르툴리안은 원래 이교도 철학과 법률학을 공부한 로마 시민으로, 젊은 시절에는 헬레니즘적 사고와 로마 법률 체계에 깊이 익숙한 사람이었음. 그는 당시 로마 사회의 부패와 비도덕성, 그리고 무력한 철학적 종교들에 회의를 품고 있었음. 그의 ..

삼위일체 2 : 신학 형성 초기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과 발전, 이단들의 왜곡과 그 결과, 그리고 교부들의 상세 논쟁, 나아가 삼위일체와 구속사(redemptive history)의 관계까지 순차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겠음.1.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과 발전 과정1) 신약 성경의 암시 (Implicit Foundation)삼위일체라는 단어는 없지만, 하나님의 세 위격이 여러 곳에서 함께 등장함:마 28:19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고후 13:13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초대교회는 이 구조를 “체험”하면서 교리를 정리할 필요를 느낌2) 교부 시대의 신학적 정립터툴리안 (Tertullian, 155–220): 최초로 “삼위일체(Trinitas)”라는 용어 사용. “하나의 본질(s..

삼위일체 1 : Trinity or Triune God에 대한 이해

🔹 1.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개혁주의 신학에서의 정의)개혁주의 신학에서 삼위일체란, 하나님은 한 분 본질이시되 세 위격(성부, 성자, 성령)으로 존재하심을 뜻함. 이 세 위격은 **서로 구별되지만 동일한 신성(divinity)**을 가지며, 하나님은 본질상 하나이며 위격상 셋이심. 이는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하게 이해할 수는 없지만, 계시된 진리로 수용됨.🔹 2. 삼위일체의 성경적 근거삼위일체는 성경 전반에 걸쳐 암시되고, 신약에서는 명확히 계시됨.📖 구약의 암시창세기 1:26 – “우리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3:22 – “이 사람이 우리 중 하나 같이 되었으니”창세기 11:7 – “자, 우리가 내려가서…”이사야 6:8 – “우리를 위하여 누가 갈꼬?”이사야 48:16 – “..

Bible Q&A : 하나님의 일곱 영은 무엇인가요? 성령이 7개의 다른 영으로 존재하는 것인가요? (요한 계시록 1:4, 3:1, 4:5, 5:6), 삼위일체는 모순 되는게 아닌가요?

Q: 요한계시록에는 하나님의 일곱 영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 중 한분이신 성령은 한분이신데, 7개의 영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인가요? 성령이 7개의 다른 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내용인건가요? 그러면 삼위일체는 모순된 내용이 아닌가요? 🔷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하나님의 일곱 영과 성령에 대한 해석🔹 1. 요한계시록의 7 영요한계시록 1:4, 3:1, 4:5, 5:6에서 언급되는 **"하나님의 7 영"**은 완전하고 충만한 성령의 존재를 나타냄.여기서의 "7 영"은 숫자 7이 상징하는 완전성, 충만함, 하나님의 영의 다양한 활동과 완전한 역동성을 나타냄.성령이 7명의 개별적인 영들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령이 완전하고 충만한 형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함.따라서 7 영은 ..

Bible Q&A 2025.05.06

Bible Trivia : 성경 속 숫자 이야기 - 7

🔷 성경에서의 숫자 7의 의미와 유대교, 개혁신학, 그리고 타 문화에서의 해석🔹 1. 숫자 7의 성경적 의미숫자 7은 성경에서 완전함(perfection), 충만함(fullness), 하나님의 완성된 질서(divine completeness)를 상징함. 히브리어로 숫자 7은 **“שֶׁבַע (sheva)”**이며, 이는 "맹세하다(seven oneself)" 또는 "충만하다, 완전하다"는 의미와 어원을 공유함.\즉, 하나님의 언약과 완성된 창조 질서를 나타내는 대표적 상징임.🔹 2. 성경에 사용된 숫자 7의 대표적 예시창조주간: 하나님께서 6일 동안 창조하시고, 7일째 쉬심 (창세기 2:2–3)→ 창조의 완성과 안식일곱 교회: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7교회 (계 2–3장)→ 교회의 충만한 모습을 상..

Bible Trivia 2025.05.06

Bible Trivia : 성경 속 숫자 이야기 3

🔷 성경에서의 숫자 3의 의미와 유대교 및 개혁신학적 해석Meaning of the Number Three in the Bible and its Interpretation in Judaism and Reformed Theology🔹 1. 숫자 3의 상징적 의미성경에서 숫자 3은 완전함, 확증, 하나님의 임재와 계시의 충만함을 상징함. 삼위일체, 확실한 증거, 부활과 생명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내포하고 있음.🔹 2. 성경에서 사용된 숫자 3의 대표적 예시하나님에 대한 찬양: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이사야 6:3)하나님의 거룩함을 강조하기 위한 삼중 반복예수의 부활: “사흘 만에 살아나리라” (마태복음 16:21)생명과 구속의 완성인물의 반복적 행동: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함 (요한복..

Bible Trivia 2025.05.0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