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열두 제자 시리즈

예수님의 열두 제자 시리즈 : Part 9 도마 (Thomas, 쌍둥이 도마)

thelmaoath 2025. 5. 14. 02:46

 

 

1. 도마는 누구였는가?

1-1. 이름과 의미

  • “도마”(Thomas)는 아람어로 תְּאוֹמָא (Təʾōmāʾ), “쌍둥이”라는 뜻임.
  • 헬라어로는 **디두모(Didymus)**라고 번역되며, 역시 “쌍둥이”라는 의미임 (요 11:16, 20:24).
  • 성경에는 그의 쌍둥이 형제에 대한 정보는 없으며, 이름이 곧 별칭 역할을 함.

1-2. 나이, 교육, 가족

  • 나이: 직접 언급은 없으나, 대부분의 제자들과 마찬가지로 20~30대 초반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 교육: 유대인 남성으로서 토라 교육은 기본적으로 받았을 가능성이 큼. 그러나 바리새인이나 서기관처럼 고등 교육을 받은 흔적은 없음.
  • 가족: 성경은 그의 가족 배경을 언급하지 않음. 다만 어부나 평범한 유대 가정 출신일 가능성이 높음.

2. 도마에 관한 성경 구절

도마는 요한복음에 가장 자주 등장하며, 그 외 다른 복음서에서는 주로 이름만 언급됨.

📖 관련 성경 구절

  1. 마 10:3, 막 3:18, 눅 6:15, 행 1:13
    – 도마는 12제자 중 하나로 이름만 나열됨.
  2. 요 11:16
    – “우리도 함께 가서 죽자.” 
    → 예수님이 죽은 나사로를 살리러 가실 때 도마가 발언함. 용기 있는 결단의 모습. (유대 지도자들이 예수를 잡아 죽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 상황에서 한 발언 - 다른 어떤 제자도 용기있게 말하지 않았음) 
  3. 요 14:5
    – “주여 어디로 가시는지 우리가 알지 못하거늘…”
    →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진지한 질문. (예수님 죽기 전날 마지막 가르침 장면, 예수님과 함께 하고자 하는 도마의 마음이 느껴지는 대목)) 
  4. 요 20:24–29
    – 부활하신 예수님이 나타나셨을 때 도마는 그 자리에 없었고, 손과 옆구리를 보기 전에는 믿지 않겠다고 함.
    – 예수님이 나타나시자 도마는 “나의 주, 나의 하나님”이라고 고백함.
  5. 요 21:2
    – 부활 이후 다른 제자들과 함께 예수님을 다시 만나는 장면에 등장함.

3. 도마의 믿음 변화

초기: 불완전한 이해

  • 요 11:16에서는 예수님을 향한 인간적 충성심과 죽음을 각오한 결단을 보여줌.
  • 요 14:5에서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함. (세속적인 왕이 아닌 영원한 왕으로 이해하지 못함
    → 그는 단순히 “도대체 무슨 길이냐”고 묻고, 예수님의 길이 십자가와 부활임을 몰랐음.

중기: 이해 부족에서 (예수님에 대한 사랑에 기인한) 의구로

  • 요 20:25에서 그는 제자들의 증언만으로는 믿을 수 없다고 말함.
    → “내 손가락을 그 못자국에 넣어 보지 않고는 믿지 않겠다.”

절정: ‘나의 주, 나의 하나님’ 고백

  • 예수님이 그에게 나타나자, 도마는 가장 명확하고 고백적인 신앙 선언을 함 (요 20:28).
    → 이는 사복음서 전체에서 예수님의 신성을 가장 분명히 고백한 장면임.

결론적으로:

  • 도마의 신앙은 단순히 회의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신중하고 진실된 믿음의 과정을 보여줌.

4. 성격 분석과 변화

초기에 나타난 성격

  • (인간적) 용기 있음 (요 11:16): 예수님과 함께 죽으러 가자고 함.
  • (솔직하고) 진지하고 질문하는 자세 (요 14:5): 불분명한 것에 대해 묻는 자세는 신중함의 표현임.
  • 합리적, 경험 중심 (요 20:25): 확실한 체험 없이는 믿을 수 없다는 태도.

변화된 성격

  • 신뢰와 경배로 전환: 예수님을 만난 후, 그는 이성을 넘어서서 전인격적인 신앙 고백을 함.
  • 침묵 대신 고백: 예수님을 보고 난 이후, 도마는 더 이상 질문하지 않고 단호히 예수님을 "하나님"이라 부름.

5. 왜 도마는 "의심 많은 도마"라 불리는가?

(이것이 합당한가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룰 예정)

성경적 맥락

  • 요 20:24–25: 도마가 다른 제자들과 함께하지 않아, 부활하신 주님을 처음에 보지 못함.
  • 그의 발언은 단순한 불신이 아닌, 직접 체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예수님에 대한 사랑에 발로한 열망이었음.

오해에 대한 비판

  • 도마는 단순한 회의주의자가 아님. 오히려 진리 앞에서 정직하고 신중한 신앙인임.
  • “나의 주, 나의 하나님”은 의심을 넘은 절대적 신앙의 표현임.

6. 개혁신학(Reformed Theology)에서 본 도마

  • 회심의 전형: 도마는 ‘의구 → 질문 → 경험 → 신앙고백’의 단계를 거친 회심의 전형적인 인물로 평가됨.
  • 하나님이 의심을 사용하심: 하나님은 도마의 회의적 성향조차도 신앙의 증거와 확신을 주는 도구로 사용하셨음.
  • 부활 신앙의 증거자: 도마는 신약 성경 전체에서 예수님의 부활과 신성을 가장 분명하게 고백한 인물 중 하로 평가받음.

7. 도마의 죽음

  • 전통적 기록: 도마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 인도로 선교를 떠났고, 마드라스(또는 마두레이, 현 첸나이)에서 선교하다 창에 찔려 순교 것으로 전해짐.
  • 그는 인도 기독교의 시조로 여겨지며, 현재도 그의 순교지를 ‘성 도마의 무덤’이라 부름.

8. 도마에게서 배우는 교훈

  1. 신중함은 믿음의 장애가 아님: 깊이 질문하고 확신을 얻는 자세는 성숙한 신앙으로 이끄는 통로임.
  2. 의심은 믿음의 적이 아니라 통로일 수 있음: 도마는 예수님의 부활을 의심했지만, 그 의심은 더 큰 믿음으로 이어짐.
  3. 경험 이후의 고백이 진정한 믿음이 될 수 있음: "나의 주, 나의 하나님"이라는 고백은 신앙의 최고 형태임.
  4. 진리 앞에서 무릎 꿇는 순종: 도마는 결국 자신의 지성과 감정을 다 내려놓고, 주님 앞에 완전히 무릎 꿇음.

결론

도마는 흔히 "의심 많은 도마"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그는 가장 인간적이고 정직한 신앙 여정을 보여준 제자였음. 그의 의심은 단순한 불신이 아닌, 진리에 이르고자 하는 깊은 갈망의 표현이었음.


개혁신학은 도마를 하나님이 의구심 조차 사용하여 참된 믿음을 이끌어 내신 사례로 받아들임.
그의 삶과 죽음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질문하고 경험하며 결국 믿음으로 살아가야 할 여정을 보여주는 귀한 본보기가 됨.


🔹 1. Who was Judas Thomas?

1-1. Name and Meaning

  • “Thomas” (from Aramaic Təʾōmāʾ) means “twin.”
  • In Greek, he is called Didymus, which also means “twin” (John 11:16, 20:24).

1-2. Age, Education, Family

  • Age: Not specified, but likely in his late 20s to early 30s during Jesus' ministry.
  • Education: Likely educated in the Torah like most Jewish men, but not formally trained like the Pharisees.
  • Family: No direct mention in Scripture. Likely from a common Jewish household.

🔹 2. Bible Verses Involving Thomas

  • Matthew 10:3; Mark 3:18; Luke 6:15; Acts 1:13 – listed among the Twelve.
  • John 11:16 – “Let us also go, that we may die with him.”
  • John 14:5 – “Lord, we do not know where you are going; how can we know the way?”
  • John 20:24–29 – Refused to believe unless he saw and touched Jesus.
  • John 21:2 – Seen with other disciples after Jesus’ resurrection.

🔹 3. Transformation of His Faith

  • Early Stage: Loyal and courageous but confused (John 11:16, 14:5).
  • Middle: Struggled to believe without physical proof (John 20:25).
  • Climax: Profound declaration – “My Lord and my God!” (John 20:28).

🔹 4. Personality & Change

  • Initially: Loyal, brave, cautious, rational, experiential.
  • Later: Bold believer, open confessor, worshipful.
  • His character reflects a deep desire for truth confirmed by experience.

🔹 5. Why "Doubting Thomas"?

  • The title stems from John 20:25.
  • Yet it misses the point—his doubt led to one of the greatest faith declarations in the Bible.
  • His doubt was honest and led to clarity, not rebellion.

🔹 6. Reformed View

  • Reformed theology views Thomas as a model of redemptive transformation.
  • God used his doubt to reveal deeper faith.
  • His confession is a cornerstone of Christological clarity.

🔹 7. His Death

  • Tradition holds he was martyred in India, pierced by a spear.
  • Honored in Chennai (Madras) where a shrine commemorates his martyrdom.

🔹 8. Lessons from Thomas

  1. Doubt can be a pathway to deep faith.
  2. Honest questions lead to real answers.
  3. Experiential faith can become doctrinal clarity.
  4. Humility and confession lead to true worship.

🔹 Conclusion

Thomas was not simply a doubter—he was a seeker of truth, and when he found it, he embraced it fully. His journey affirms that God honors sincere questioning when it leads to faithful confession. His legacy continues to guide modern believers in wrestling honestly with faith, doubt, and ultimate trust in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