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43

성경 이야기 : 예수님의 마지막 1주일 시공간적 배경 및 행적 요약

예님의 이땅에서의 마지막 1주일간의 시공간적 배경 및 행적을 요약함  (배경) 예수님의 생에 이땅에서의 마지막 주간은 유대력으로 니산월(3월 말~4월 초)에 해당하는 봄철에 일어났음.이 시기는 유대 명절인 유월절 축제와 일치하며, 유월절(Passover)은 이스라엘 민족의 이집트 탈출을 기념하는 중요한 종교 축제임. 성경은 이 시기를 "무교절"이라고도 부르며, 이는 7일 동안 누룩 없는 빵을 먹는 관습을 반영함. 일반적으로 예루살렘의 정상 인구는 (당시) 약 5만 5천 명이었지만, 유월절 기간 동안 약 18만 명까지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학자들은 이 수치가 더 높아 최대 25만 명에서 30만 명까지 달했을 것으로 보기도 함. 유대교 법에 따르면, 모든 성인 남성(above 12세 이상) 유대인..

Bible Trivia 2025.03.13

Bible Q&A : Matthew 26:3 유대공회 (Sanhedrin)

질문: 유대 장로(리더들)이 구성원으로 있는 공회(Sanhedrin)는 무엇인가요?  기원과 의미Korean공회란! 성경적 기원과 의미:'산헤드린'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synedrion'에서 유래되었으며, '함께 앉다'라는 뜻임.구약성경의 민수기 11:16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음. 모세가 70명의 장로를 선택하여 백성을 다스리도록 한 것이 산헤드린의 시초로 여겨짐.구성과 자격:71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짐. 대제사장이 의장을 맡음.구성원은 토라(모세 5경) 지식, 지혜, 겸손,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 등 엄격한 자격 요건을 갖춰야 함.40세 이상이어야 하며, 다양한 학문/언어에 정통해야 함.책임과 권한:유대 국가의 최고 입법 및 사법 기관으로 기능함.종교법 해석, 중요 사건 심판, 성전 예배 감독 ..

Bible Q&A 2025.03.13

Bible Q&A : 마태복은 26:3절의 장로들은 누구인가요? (who are the elders in Matthew 26:3)

Korean질문: 마태복음 26:3에서 언급된 장로들은 예수 시대에 누구였으며,  이스라엘의 12지에서 각각 차출되어 구성되었는지 알려주세요!  또한, 장로들의 정치적 성향 즉, 바리새인, 사두개인, 열심당원, 에세네파에서 각각 몇명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려주세요!   마태복음 26:3의 장로들장로들은 유대인의 최고 의회인 산헤드린(Sanhedrin)의 구성원으로, 종교적 및 정치적 지도자들이었음. 이들은 대제사장, 서기관들과 함께 유대 사회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데 참여했음.12지파와의 관계:장로들은 이스라엘의 12지파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으나, 로마 점령 시기에는 종족적 대표보다는 종교적, 정치적 영향력이 더 중요했음.산헤드린은 7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제사장이 의장을 맡았음.종파별 구성:바리새..

Bible Q&A 2025.03.13

Bible Q&A : 대제사장 가야바는 누구인가? (Matthew 26:3)

Korean질문: 마태복음 26:3에서 대제사장 가야바는 누구이며, 로마 점령 하에서 어떻게 대제사장이 될 수 있었는지 궁금해요!.가야바는 예수님 시대의 유대인 대제사장이었음. 그의 전체 이름은 요셉 가야바이며, 기원후 18년부터 36년 또는 37년까지 대제사장직을 수행했음. 이는 로마 시대 어떤 대제사장보다도 긴 재임 기간임. 가야바의 생애:기원전 20년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됨전임 대제사장 안나스의 사위였음로마 총독 발레리우스 그라투스에 의해 임명됨18년 동안 대제사장직을 유지함로마 점령 하에서의 대제사장직:로마 총독의 직접적인 권한 아래 있었음정치적 임명이었으며, 종종 뇌물과 관련이 있었음로마 당국과의 외교적 기술이 요구되었음유대인의 종교적 관행과 로마의 정치적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했음가..

Bible Q&A 2025.03.13

Bible Q&A : 마태복음 26장 2절 (Matthew 26:2) (성경속의 시간 이해 3)

질문: 마태복음 26:2의 배경인 화요일 저녁 예수님은 이틀 후에 십자가에 못 박히실 것이라고 말씀하셨음.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신 날짜가 화요일 밤인데, 어떻게 예수님은 목요일이 아닌 금요일 십자가에 못박히셨는지?성경에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닌지?Korean마태복음 26:2의 예수님의 말씀과 실제 십자가 사건 사이의 시간 차이에 대해 몇 가지 설명이 가능함:유대인의 시간 계산 방식:유대인들은 하루의 시작을 해질 때로 계산했음. 따라서 화요일 저녁에 하신 말씀은 유대인의 관점에서 이미 수요일로 간주될 수 있음.부분적 날짜 계산:유대 문화에서는 하루의 일부도 하루로 계산하는 경향이 있었음. 이에 따르면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이 "이틀 후"로 간주될 수 있음.전통적 해석:많은 학자들은 이 말씀이 화요일 밤이 ..

Bible Q&A 2025.03.13

신약 성경 저자가 사용한 각기 다른 시간 체계의 예시 (마가 vs. 마태)

Korean성경 저자들은 독자층의 문화적 배경 따라 서로 다른 시간 체계를 사용하여 성경을 기술함. 마가복음은 이방인 독자를 위해 로마식 시간 체계를 적용한 반면,마태복음은 유대인 독자를 위해 유대식 시간 체계를 사용했음. 마가복음의 예: 로마식 시간 체계 (독자층이 이방인 이었음 : 유대인이 아닌 대상) 밤의 경계 구분 (마가 13:35):"저녁, 자정, 닭 울음, 아침"으로 밤을 네 경계로 나눔. 이는 로마 군대의 야간 순찰 체계를 반영한 것임. 유대인은 전통적으로 밤을 세 경계로만 구분했음.넷째 경계 언급 (마가 6:48):예수가 "넷째 경계"에 걸어오신 사건을 기록. 로마식 시간 체계에서 넷째 경계는 새벽 3시부터 6시 사이를 의미함.마태복음의 예: 유대식 시간 체계 (주요 독자층 Target 이..

Bible Trivia 2025.03.13

성경 속의 시간 2 (유대인과 로마인의 시간 체계 비교 Roman Time vs. Jewish Time)

예수 시대의 로마 시간과 유대인 시간 비교하루의 시작:유대인: 하루는 일몰에 시작됨.로마인: 하루는 자정에 시작됨.시간 구분:두 체계 모두 낮 12시간과 밤 12시간으로 하루를 나눔.그러나 이는 계절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계절적 시간임.시간 계산:유대인: 낮 시간은 일출부터, 밤 시간은 일몰부터 계산함.로마인: 자정부터 (또는 정오부터) 시간을 계산함.실제 시간 측정:로마인: 더 정확한 시간 측정을 위해 해시계와 물시계를 사용함.유대인: 자연 주기와 성전 제사와 연계된 기도 시간에 더 의존함.주간 구조:유대인: 안식일을 휴식일로 하는 7일 주간을 사용함.로마인: 9일 주기의 "눈디알 주기"를 사용함.달력 체계:유대인: 주로 태음력을 사용함.로마인: 태양력을 사용함.Roman vs. Jewish Time ..

Bible Trivia 2025.03.13

Trivia : 성경의 시간 체계 - 예수님 시대의 시간 체계를 중심으로

예수 시대의 유대인 시간 체계는 다음과 같이 하루를 구분했음:하루는 12시간의 낮 시간과 12시간의 밤 시간으로 나뉘었음낮 시간은 일출에 시작하여 일몰에 끝났음밤은 로마 체계를 채택하여 4개의 경계로 나뉘었음.하루의 시작은 일몰 (현재의 오후 약 6시경) 유대인 시간 체계에서 일반인의 전형적인 하루:전날 일몰(해가지면)에 하루가 시작됨 (근거는 창세기 1장 3절) 저녁, 아침, 정오의 세 주요 시기로 나뉘었음다음 일몰에 끝나며, 이는 새로운 날의 시작을 의미함24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음:첫 시간: 일출부터 오전 9시까지제3시: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제6시: 정오부터 오후 3시까지 제9시: 오후 3시부터 일몰까지밤 경계: 첫 경계(일몰부터 오후 9시), 둘째 경계(오후 9시부터 자정), 셋째 경계(자..

카테고리 없음 2025.03.13

Holy, Holy, Holy is the Lord God (계시록 4장 8절)

계시록 4장 8절에 천사들이 하나님을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라고 세 번 반복하여 외치는 이유는 하나님의 절대적이고 무한한 거룩함을 강조하기 위함임. 1. 하나님의 최고 거룩함 강조히브리 문학에서는 반복을 통해 중요성을 강조함. "거룩하다"라는 세 번의 반복(트리하기온, trihagion)은 하나님이 단순히 거룩하신 분이 아니라, 무한하고 최고로 거룩하신 분임을 나타냄. 성경에서 하나님의 다른 속성(예: 사랑, 자비, 정의)이 이 정도로 높이 평가되는 경우는 없음.2. 경배와 경외천사들이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라고 외치는 것은 하나님의 위엄과 영광에 대한 경배의 반응을 반영함. 이사야의 환상에서 스랍들이 얼굴을 가리고 경외하며 하나님의 거룩함을 선포하는데, 이는 천자들 조차도 하나님의..

성경에 나타난 거룩한 삶의 예시

구약성경의 거룩한 삶의 예아브라함의 믿음과 순종:아브라함은 자신의 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는 요구에도 하나님을 완전히 신뢰함으로써 거룩한 삶을 보여줌. 그의 순종은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을 반영함(창세기 22:1-18).요셉의 순결과 정직:요셉은 보디발의 아내의 유혹을 거절하며 "내가 어찌 이 큰 악을 행하여 하나님께 죄를 지으리이까?"라고 말함(창세기 39:9). 그의 순결과 정직에 대한 헌신은 거룩함의 본보기임.모세의 지도력과 겸손:모세는 하나님의 목적을 위해 구별된 삶을 살았으며,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이끌어내고 백성들의 반역에도 불구하고 충실히 중보기도를 함(출애굽기 32:11-14; 민수기 12:3).다니엘의 타협하지 않는 믿음:다니엘은 왕의 음식으로 자신을 더럽히기를 거부하고, 사자 굴에 던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