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성경 기본 개념_단어 이해/온유 (Meakness)

[온유] 성경 속 "온유한 사람들 사례"

thelmaoath 2025. 5. 29. 06:40

 

1. 성경 속 ‘온유한 사람들’

 

온유의 의미 

 

  • 헬라어 원어: πραΰς (praÿs) — ‘권세나 힘을 가지고도 자제하고 절제하는 상태’를 의미함. 말의 절제, 복수의 절제, 권리의 절제가 포함됨. 단순히 유약함이나 소극성이 아님.
  • 영어 단어 meek의 어원: 고대 영어 mēoc는 ‘부드럽고, 참을성 있는’ 뜻에서 발전했으나, 성경에서의 meekness는 **“힘이 있음에도 복수를 하지 않고 하나님께 맡기는 자세”**로 이해되어야 함.

온유함’(히브리어: עָנָו (anav), 헬라어: πραΰς (praÿs))을 단순히 성격적 유순함이 아닌,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낮추고,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며, 복수나 자기 주장을 절제하는 성품으로 묘사함. 성경 속 대표적인 온유한 인물들과 그들이 온유하다고 평가받는 성경적 근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음.

 

 


1) 모세 – 권력과 위치를 절제함

  • 모세는 출애굽 공동체의 절대적 리더였고 하나님의 직접 지시를 받은 자임에도, 반복적으로 자신을 향한 비난과 도전에 대해 반격하지 않았음. (예: 고라의 반역 – 민 16장)
  • 모세는 민수기 12장에서 아론과 미리암이 자신을 비난할 때 변호하거나 저주하지 않고, 하나님께 맡김 → 결과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개입하심.
  • 그는 자신의 힘과 지위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님의 심판과 인도에 의존함이것이 온유의 핵심적 예임.
  • 근거 성경구절 :  민수기 12:3 ==> “이 사람 모세는 온유함이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더하더라”
  • 이유: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반복적인 불순종과 원망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보복을 가하거나 강압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그들을 위해 계속 중보기도함 (출 32:11–14, 민 14:13–20).
    모세는 또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보다 하나님의 뜻에 따라 백성을 인도하고 참고 견딤. 이는 온유함의 실천임.

2) 다윗 – 복수의 기회를 자제함

  • 다윗은 사울에게 쫓기고 있었고, 두 차례나 사울을 죽일 수 있었음(삼상 24, 26). 당시 정치적·군사적 상식으로 보면 생존과 왕위를 위해 사울을 제거하는 것이 합리적이었음.
  • 그러나 그는 “여호와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해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복수를 하나님의 손에 맡김.
  • 이는 자신이 가진 전사적 능력과 군사적 기회를 절제한 온유함의 실제적 사례임.
  • 근거 성경구절: 사무엘상 24장, 26장

3) 예수님 – 전능하심을 절제하고 종으로 섬김

  •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며 모든 권세를 가진 분임에도, 십자가에서 자신을 조롱하고 때리는 자들을 멸하지 않으심(마 26:53-54, “내가 열두 군단 천사를 부를 수 있지 않느냐”).
  • 대신 그분은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다”(마 11:29) 하시며, 섬기는 자로 오셨고, 자신을 낮추어 죽기까지 복종하심(빌 2:5–8).
  • 예수님은 심판자이지만 지금은 구속자로서 자비와 인내를 먼저 보이심이것이 온유의 최고 본보기임.
  • 근거 성경구절=> 마태복음 11:29마태복음 21:5 (스가랴 9:9 인용)

         “보라 네 왕이 네게 임하나니 그는 온유하여 나귀 곧 멍에 매는 짐승의 새끼를 탓도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 예수님은 전능한 하나님의 아들이셨지만, 권리를 주장하거나 힘으로 정복하지 않고, 낮은 자로 오셔서 섬기시고 십자가를 지심. 심지어 핍박자들을 용서하심(눅 23:34).

4) 바울 – 사도로서의 권위를 절제하고 설득함

  • 고린도후서 10:1에서 바울은 “그리스도의 온유와 관용으로 너희를 권하노라”고 밝힘. 이는 그가 자신의 사도권과 영적 권위를 이용해 억압적으로 명령하지 않고, 사랑과 인내로 회개와 성숙을 유도한 것을 뜻함.
  • 그는 반복해서 자신을 낮추며, 바른 교훈을 주기 위해 “자녀를 대하듯”(살전 2:7) 했다고 표현함.
  • 근거 성경구절: 고린도후서 10:1

        “너희를 대면하면 유순하고 떠나 있으면 너희에 대해 담대한 나 바울은 이제 그리스도의 온유와 관용~권하고"

  • 사도로서 권위를 행사할 수 있었지만, 바울은 복음의 사랑 안에서 권면하고, 상대방의 유익을 위해 인내하며 말함. 그의 사역 전반은 예수 그리스도의 온유함을 본받은 모습임.

2. 온유한 자들의 공통적 특징

  • 자기를 주장하지 않음
  • 하나님께 심판을 맡김
  • 인내와 절제가 있음
  • 타인을 위한 중보기도와 용서가 있음
  • 권한을 가졌으나 이를 남용하지 않음
인물 권한/보유능력 그들이 선택한 것  온유함의 표현 방식
모세 리더십, 선지자 모욕에 대해 침묵, 하나님께 맡김 자기를 주장하지 않음
다윗 전사, 왕위 계승 사울을 죽이지 않고 용서함 복수 권한 절제
예수님 하나님의 아들 구원 위해 자기를 낮춤, 십자가 지심 전능함을 절제
바울 사도, 교회 권위 명령보다 권면을 선택 권위를 인내와 사랑으로 사용

 


결론

성경에서 ‘온유한 자들’은 모두 자기 의를 주장하지 않고 하나님의 뜻과 주권에 자신을 내맡기며, 타인을 인내로 대하고 복수하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온유를 드러낸 자들임. 이는 단지 성격적인 온순함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의 겸손하고 절제된 신앙의 태도임.


1. Biblical Examples of Meek Persons and Why They Are Considered Meek

In Scripture, meekness (Hebrew: anav, Greek: praÿs) is not simply natural gentleness, but a God-centered attitude of humility, self-restraint, and trust in God, especially in the face of injustice or power.

 

2. Specific Reasons Each Figure Is Called Meek

1) Moses

  • Though Moses had immense authority, he did not use it to defend himself when Miriam and Aaron opposed him (Num. 12).
  • Instead of reacting, he let God vindicate him. This restraint in leadership was an act of meekness.

2) David

  • David had the opportunity to kill Saul twice, but refrained, saying he would not harm the Lord’s anointed (1 Sam. 24, 26).
  • He withheld revenge when he had power to act, trusting God instead. That’s biblical meekness in action.

3) Jesus Christ

  • Jesus had infinite divine power (Matt. 26:53) but chose not to destroy His enemies or avoid suffering.
  • Instead, He submitted to death on the cross, forgiving sinners.
  • He described Himself as “meek and lowly in heart” (Matt. 11:29), revealing strength under divine control for redemptive purposes.

4) Paul

  • Though Paul was an apostle with authority, he chose persuasion over compulsion (2 Cor. 10:1), appealing to churches through Christ’s meekness.
  • He did not exercise dominance, but led with fatherly love and patience (1 Thess. 2:7).

2.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eek

  • Do not assert their own rights
  • Entrust judgment to God
  • Exercise patience and restraint
  • Intercede and forgive others
  • Use authority responsibly and humbly

Conclusion 

Those considered meek in the Bible do not demand their rights but submit to God’s will, responding to others with patience, restraint, and humility. Meekness is not weakness but a spirit-led posture of trust and surrender before God, often seen in moments of potential conflict or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