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룩함과 공의/의로움의 원어 및 개념 정리
1. ‘거룩함’의 원어 분석
- 히브리어: קדש (qodesh) – “구별됨, 정결함, 도덕적 순수함”을 의미함
- 헬라어: ἁγιος (hagios) – “성별된, 구별된, 죄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의미함
→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모든 피조물과 구별된 분으로서, 죄와 악에서 완전히 분리된 존재임
2. ‘공의/의로움’의 원어 분석
- 히브리어: צֶדֶק (tsedeq) – 도덕적 정직함, 공정한 판결
- 헬라어: δικαιοσύνη (dikaiosynē) – 하나님 앞에서 올바른 상태, 정당함, 법적 의로움
Ⅱ. 성경이 말하는 거룩과 공의의 관계
1. 거룩함이 공의를 요구함
거룩함은 공의의 기초임: 하나님이 거룩하시기 때문에 죄와 불의를 용납하실 수 없음.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분의 완벽한 순수성으로 인해 죄를 반드시 심판해야 하는 속성을 내포함.
- 레위기 11:44-45 –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
→ 하나님의 본질적 거룩함은 인간에게도 거룩을 요구함. 이는 죄에 대한 철저한 판단(공의)을 포함함 - 하박국 1:13 – “주께서는 눈이 정결하심으로 악을 참아보지 못하시며…”
→ 하나님의 거룩함은 죄에 대해 반드시 반응해야 함 - 이사야 5:16: "오직 만군의 여호와는 정의로우시므로 [מִשְׁפָּט] 공의로우시다 일컬음을 받으실 것이요 거룩하신 하나님은 공의로우시므로 [צְדָקָה] 거룩하다 일컬음을 받으시리니." 여기서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공의가 동의어처럼 사용되며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줌.
2. 공의는 거룩함의 실천적 표현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분이 모든 것을 올바르고 공정하게 다스리시는 공의로운 통치로 나타남. 공의로운 심판과 통치를 통해 하나님의 거룩함이 드러남.
- 시편 97:2 – “공의와 정의가 그의 보좌의 기초로다”
→ 하나님의 공의는 그분의 통치와 성품에서 거룩함을 드러내는 방식임 - 이사야 5:16 – “거룩하신 하나님은 의로우심으로 거룩하게 되시며”
→ 하나님은 공의로운 심판을 통해 자신의 거룩함을 나타내심 - 시편 9:8: "공의로 세계를 심판하심이여 정직으로 뭇 백성에게 판결을 내리시리로다."
- 레위기 19:2: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하나님이 거룩하시기에 그 백성에게도 거룩한 삶, 즉 의롭고 공의로운 삶을 요구하심. 이는 하나님의 거룩함이 윤리적 요구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함.
Ⅲ. 개혁신학적 해석
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그분의 모든 속성의 초석으로 봄.
1. 하나님의 단일성(Simplicity)
개혁신학은 하나님의 속성을 분리된 요소로 보지 않고, 하나의 단일한 본질에서 통합된 방식으로 이해함.
→ 즉, 하나님의 거룩함과 공의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음.
- 분리 불가능성: 개혁주의는 하나님의 속성들이 독립적인 '부분'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분의 단일한 본질의 다양한 측면이라고 설명함. 즉, 하나님이 공의로우시다는 것은 그분이 거룩하시기 때문이며, 그분이 거룩하시다는 것은 그분의 통치가 항상 의롭다는 것을 의미함.
2. 하나님의 거룩함은 공의의 근원
- 죄에 대한 필연적인 진노: 하나님의 절대적인 거룩하심은 죄와 결코 공존할 수 없음을 의미함. 따라서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공의)은 그분의 거룩한 본성에서 필연적으로 나옴. 죄에 대한 심판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표현이자 동시에 그분의 거룩함이 침해되었을 때 나타나는 반응임.
- R.C. Sproul :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강조하며, 이 속성이 인간의 죄를 용납할 수 없게 한다고 가르침.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죽음(사도행전 5:1-11)이나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레위기 10:1-3)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이 불의를 간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예시로 자주 언급됨.
- 루이스 벌콥 (Louis Berkhof): “하나님의 거룩은 하나님의 모든 속성 중 핵심이며, 공의는 그 거룩함이 죄에 반응하는 방식이다.”
→ 죄를 미워하시고 죄인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태도는 공의로 나타나며, 이는 거룩하심에서 기인함
Ⅳ.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조화
인간의 죄는 하나님의 거룩함에 대한 모독이며, 공의로운 심판을 요구함. 개혁주의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순종과 십자가에서의 대속적 죽음만이 하나님의 거룩한 공의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봄.
완벽하시고 거룩한 예수님의 죽음만이 하나님의 거룩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유일한 수단이며, 죄에 대한 공의로운 형벌을 대신 받음으로써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켰음. 이로써 하나님은 자신의 거룩하심과 공의를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죄인에게 구원을 베풀 수 있게 되셨음.
- 십자가에서 하나님은 거룩하심으로 인해 죄를 용납하지 않으시고, 공의롭게 그 죄를 심판하심
- 동시에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셔서 우리의 죄를 담당하게 하심(롬 3:25-26, 고후 5:21)
→ 거룩함은 공의와 사랑을 모두 요구하며, 이 둘은 십자가에서 완전하게 통합되고 조화를 이룸
Ⅴ. 적용점 (오늘날 신자에게 주는 교훈)
-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바르게 이해하면 죄를 가볍게 여기지 않게 됨
- 공의의 하나님을 아는 자는 자기 의에 의존하지 않고 오직 은혜로 구원을 의지하게 됨
-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서 살아가는 삶은 공의롭고 정직하며 죄를 멀리하는 삶이 되어야 함 (벧전 1:15-16)
결론
하나님의 거룩하심은 그분의 본질적 속성이며, 공의는 그 거룩함이 죄에 반응하는 방식임. 거룩은 공의를 낳고, 공의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드러냄. 이 관계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완전하게 실현되며, 참된 신자는 이 사실을 기억하며 거룩하고 공의로운 삶을 살아가야 함.
Ⅰ. Definition and Original Language of Holiness and Justice
1. Holiness (Hebrew & Greek)
- Hebrew: qodesh (קדש) – separation, purity, moral perfection
- Greek: hagios (ἁγιος) – set apart, sacred, free from sin
→ God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all evil and morally perfect
2. Justice/Righteousness
- Hebrew: tsedeq (צֶדֶק) – righteousness, fairness, uprightness
- Greek: dikaiosynē (δικαιοσύνη) – legal justice, right standing before God
Ⅱ. Biblical Relationship Between Holiness and Justice
1. Holiness Demands Justice
- Leviticus 11:44-45 – “Be holy, for I am holy”
→ God’s holiness requires moral conformity and judgment against sin - Habakkuk 1:13 – “Your eyes are too pure to look on evil”
→ God’s holiness cannot overlook sin
2. Justice Expresses Holiness
- Psalm 97:2 – “Righteousness and justice are the foundation of His throne”
→ God’s justice is how He rules and expresses His holiness - Isaiah 5:16 – “The Holy God will show Himself holy in righteousness”
→ God reveals His holiness through righteous acts
Ⅲ.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1. Divine Simplicity
Reformed theology teaches that God’s attributes are not compartmentalized but unified in His essence.
→ Holiness and justice are distinct but inseparable.
2. Justice Flows from Holiness
- Louis Berkhof: “God’s holiness is His central attribute, and justice is the expression of holiness in response to sin.”
→ God’s hatred of sin and His judgment stem from His holy nature
Ⅳ. Fulfillment in Jesus Christ
- At the Cross, God’s holiness demanded justice against sin
- God’s justice was satisfied through Christ’s sacrificial death (Rom 3:25-26, 2 Cor 5:21)
→ Holiness required both justice and love, which were fully met at Calvary
Ⅴ. Application to Believers Today
- Understanding God's holiness prevents us from treating sin lightly
- Knowledge of divine justice leads us to depend on grace, not our own righteousness
- A holy God calls us to holy living—righteous, honest, and set apart (1 Pet 1:15-16)
결론 │ Conclusion
God’s holiness is His essential nature, and His justice is the outward expression of that holiness when confronting sin. Holiness gives rise to justice, and justice reveals holiness. In Christ, these attributes converge perfectly. True believers must live in reverence of this reality, striving for holiness and righteousness in their daily lives.
'1. 하나님의 속성_품성(Attributes of Go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 한 속성(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할 때 수반되는 위험성 (0) | 2025.06.06 |
---|---|
[Attributes of God] 거룩과 사랑의 관계 (2) | 2025.06.06 |
[Attributes of God] 공의와 사랑의 충돌 => 그 완벽한 조화 "십자가" (0) | 2025.06.06 |
[Attributes of God] 7-1.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 (0) | 2025.05.31 |
[Attributes of God] 7. 주권자 하나님 이란? (하나님의 주권이란?) (Sovereignty of God)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