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속 작은/적은 믿음과 큰 믿음에 대한 사례를 찾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1) 정확한 의미와, 2) 오용사례, 3) 시사점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음
결론 : “little faith”는 예수에 대한 신뢰 부족을 가리키며, “great faith”도 성경에 존재함.
개혁주의는 믿음의 크기보다 대상과 본질을 강조함.
1. 작은/적은 믿음 : “little faith”(ὀλιγοπιστία, oligopistía)의 어원 및 의미
- 헬라어 원어: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믿음이 적은 자들아”는 헬라어 **ὀλιγόπιστος (oligopistos)**에서 유래함- ὀλίγος (olígos): ‘작다, 부족하다’
- πίστις (pístis): ‘믿음, 신뢰’
⇒ 직역: 믿음이 작은 자, 믿음이 적은 자
- 어원적 의미: ‘믿음이 부족한 상태, 신뢰가 작음’
- 문맥적·문화적 배경: 예수에 대한 신뢰, 즉 메시아에 대한 확신이 부족함을 지적하는 표현임.
- 정리:
“little faith”는 전혀 믿음이 없는 상태가 아닌,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이 있지만, 상황 속에서 의심하거나 흔들리는 상태를 가리킴임.
2. 성경에 나타난(예수께서 말씀하신) 적은 믿음 “little faith” 사례
성경구절 | 상황/문맥 | 예수님의 질책 |
마태복음 6:30 | 먹을 것, 입을 것을 염려하는 제자들 | “믿음이 적은 자들아(ὀλιγόπιστοι), 내일 일을 염려하지 말라” |
마태복음 8:26 | 풍랑 가운데 두려워하는 제자들 ( 폭풍우 속 배에 탄 제자들) |
“어찌하여 두려워하느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 |
마태복음 14:31 | 베드로가 물 위를 걷다 빠짐 | “믿음이 적은 자여, 왜 의심하였느냐” |
마태복음 16:8 | 제자들이 떡이 없음으로 근심 | “믿음이 적은 자들아, 너희가 아직도 깨닫지 못하느냐” |
마태복음 17:20 | 귀신 들린 아이 치유 실패 논의 | “너희에게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 있으면…” (little faith 비판) |
누가복음 12:28 | 물질에 대한 염려 |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질 들풀도 입히시거늘, 하물며 너희일까 보냐, 믿음이 적은 자들아” |
3. 성경에 나타난 적은/작은 믿음 사례들의 공통점·차이점
- 공통점
- 모두 삶의 현실적 어려움(풍랑, 결핍, 염려)에 직면함 =>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믿음의 상태를 알수 있음
- 두려움·염려·의심 때문에 예수의 능력과 약속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함
- 즉, 하나님과 예수님의 능력과 성품에 대한 신뢰 부족
- 순간적인 두려움과 의심으로 인해 믿음이 흔들림
- 예수께서 보여 주실 하나님의 주권적 능력이 있음에도 불신
- 차이점
- 맥락: 생존(의복·양식) 문제 vs. 생명 위기(폭풍·가라앉음) vs. 영적 문제(귀신 들림)
- 질책의 방식: 의문형(“어찌하여…”) vs. 선언형(“공의롭지 못한…”)
- 대상: 제자 전체 vs. 베드로 개인 vs. 군중
- 예수님의 질책 의미
예수님은 믿음 자체가 없음을 꾸짖지 않음.
오히려 믿음이 있음에도 상황 중심적으로 판단하며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지 못한 상태를 지적하심임.더보기즉, “믿음이 적은 자”란 믿음을 실천하지 못하는 자, 하나님의 성품과 능력을 잊고 현재 상황/환경에 매몰된 자임.
4. 그러면 큰 믿음도 존재하는가? “big faith” or “great faith”(μέγα πίστις, megá pistis)
1). 성경 속 큰 믿음 “Great Faith”(μέγα πίστις) 사례
성경 | 상황 | 예수님의 칭찬 |
마태복음 15:21–28 | 가나안 여인이 딸의 병 치유를 간청하자, 예수님이 시험 삼아 반응을 보이심 | “여인아, 네 믿음이 크도다(μέγα σου ἡ πίστις)! 네 소원대로 되라.” (마 15:28) |
누가복음 7:1–10 | 백부장이 종의 중병 소식을 듣고 예수께 중보 기도를 요청함 | “이스라엘 중에도 이만한 믿음을 보지 못하였노라(οὐ εὗρον τοσαύτην πίστιν)” (눅 7:9) |
2). 문맥적 해석
- 가나안 여인(마 15:21–28)
- 배경: 예수님은 이방 지역에 계심. 여인은 딸의 고통에 간절하지만, 제자로부터 “이방인에게는 사역이 먼저 아님”이라는 말을 전해 듣고도 포기하지 않음.
- 대화:
- 예수님: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에게만 보냄을 받았노라.”
- 여인: “주여, 그렇지만 개들도 주의 자투리 빵을 먹나이다.”
- 의미: 여인의 답변에 담긴 겸손, 예수님의 권세에 대한 절대적 신뢰, 자신의 여건을 초월한 간구가 “great faith”의 본질임.
- 백부장(눅 7:1–10)
- 배경: 로마 군대 장교인 백부장은 유대인 종 하나를 사랑함. 예수의 명령 한마디면 나을 줄 아는 신뢰
- 대화: 백부장은 자신을 “자격 없는 자”라 칭하며 집까지 오실 필요 없고, 말만 하시면 된다고 고백함.
- 의미: 이방인 권력자가 보인 예수의 권위에 대한 인식, 자격 없음의 고백, 그리고 말씀 한마디에 의탁하는 순수 신뢰가 “great faith”의 실례임.
[Little Faith vs Great Faith 비교]
구분 | Little Faith | Great Faith |
대상 | 제자, 베드로 등 유대인 | 가나안 여인, 백부장 등 이방인 |
태도 | 예수님 하나님의 성품/능력에 의심 | 예수의 권위에 대한 절대적 신뢰 |
상황 | 위기에서 흔들림 | 위기 속에서 간절한 의탁 |
반응 | “왜 의심하느냐” | “네 믿음이 크도다” |
교훈 | 믿음을 강화할 필요 | 칭찬할 만한 믿음의 본보기 |
3). 성경 사례를 통해 도출한 “Great Faith”의 정의
- 원어 분석: μέγα (megá) ‘큰, 위대한’ + πίστις (pístis) ‘믿음, 신뢰’
- 정의:
- 절대적 권위 인식: 예수께서 가진 하나님의 권능을 전적으로 인정함
- 겸손과 자격 없음의 고백: 스스로의 무능과 예수의 전능을 대조적으로 이해
- 간절한 간구와 (말씀에 대한) 순종: 모든 조건을 내려놓고 예수의 말씀에 의탁
결국: great faith는 믿음의 양(量)이 아니라, 믿음의 질(質)**을 가리키며, “예수께서 명하시면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란 확신임.
5.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
- 믿음은 전적으로 성령의 은혜로 주어지는 선물으로, 질적 성숙은 성화 과정을 통해 자라남
- “Great Faith” 사례는 믿음의 성격(신뢰·순종·겸손)을 보여줄 뿐, 양적인 것을 말하지는 않으며, 인간의 공로나 자격을 강조하지도 않음
- 모든 성도는 Christ alone을 의지하며 “great faith”로 칭찬받은 이들의 본을 따라 순종과 성장에 힘써야 함
6. 다른 주의(isms)/이단의 오용 사례 및 위험성
구분 | 적은 믿음 / 큰 믿음 오용 사례 | 위험성 |
번영신학(Prosperity) | “믿음이 크면 물질·건강의 축복이 보장된다” 주장 | 복음의 본질 왜곡, 불신자 비난, 실패 시 자기 비난 |
신사도운동(NAR) | “사도적 권위 아래 믿음만 있으면 모든 영적 능력 발휘” 주장 | 교회 권위 왜곡, 지나친 체험주의 조장 |
전통적 카리스마/오순절주의 | “방언·치유 없는 것은 믿음이 부족해서” | 소외감 조성, 신앙 위계화 |
결론
“little faith”는 예수에 대한 신뢰 부족을 가리키며, “great faith”도 성경에 존재함.
개혁주의는 믿음의 크기보다 대상과 본질을 강조함.
능력 중심·체험 중심 신앙은 복음의 핵심(죄 사함과 은혜)을 흐리며 신자에게 불안과 위계를 조장하는 위험한 왜곡임.
1. Etymology and Meaning of “little faith” (ὀλιγοπιστία, oligopistía)
- Original (Greek): ὀλιγοπιστία (oligopistía)
- ὀλίγος (olígos): “small, little”
- πίστις (pístis): “faith, trust”
- Literal Meaning: “a small amount of faith; little trust”
- Contextual/Cultural Note: Indicates insufficient trust in Jesus as Messiah, typical in the Jewish-Greek milieu.
2. Occurrences of “little faith” in Scripture
Matthew 6:30 | Anxiety about clothing | “You of little faith!” |
Matthew 8:26 | Disciples in boat during a storm | “Why are you afraid, you of little faith?” |
Matthew 14:31 | Peter walking on water | “O you of little faith, why did you doubt?” |
Matthew 16:8 | Concern over lacking bread | “O you of little faith, why are you discussing among yourselves…” |
Matthew 17:20 | Failure to cast out demon | “If you have faith as small as a mustard seed…” |
Luke 12:28 | Worry about provision | “You of little faith!” |
3.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 Commonalities
- Insufficient trust leads to fear, anxiety, doubt despite Jesus’ power
- Jesus addresses disciples or crowd, highlighting lack of faith
- Underlying theme: God’s sovereign ability remains even when faith is small
- Differences
- Contexts: material needs vs. life-threatening storm vs. spiritual deliverance
- Form of Rebuke: interrogative (“why are you afraid?”) vs. declarative (“you of little faith!”)
- Audience: whole group vs. individuals (Peter) vs. general crowd
4. Existence of “great faith” (μέγα πίστις, megá pistis)
- Matthew 15:28: “O woman, great is your faith!”
- Greek: μέγα πίστις (megá pistis)
- Jesus commends the Canaanite woman’s exceptional faith.
5. Reformed Theology Perspective
- Origin of Faith: Entirely a gift of the Spirit; magnitude is not humanly quantifiable
- Emphasis: Trust in Christ and nature of faith (wholehearted reliance) rather than quantity
- Growth: Faith matures through sanctification post-regeneration
6. Misuses by Isms/Heresies and Their Dangers
Prosperity Gospel | “Big faith guarantees wealth and health” | Distorts gospel, blames poor faith for lack |
New Apostolic Reformation | “Under apostolic authority, faith unlocks all power” | Undermines church structure, overemphasis on experience |
Charismatic/Pentecostalism | “No tongues/healing means little faith” | Creates hierarchy, marginalizes believers |
Conclusion
“Little faith” denotes insufficient trust in Christ; “great faith” also appears in Scripture.
Reformed theology focuses on the object and nature of faith, not its “size.”
Power- and experience-centered teachings distort the gospel’s core of grace and Christ’s atonement, fostering anxiety and spiritual elitism among believers.
'2. 성경 기본 개념_단어 이해 > 믿음 (Fai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 믿음은 어떻게 완성되나? (믿음은 누가 완성하나?) (0) | 2025.06.03 |
---|---|
[믿음] 믿음은 누구로부터 오는가? (믿음의 기원: 인간 vs. God) (0) | 2025.06.03 |
[믿음] 마틴로이드 존스가 말하는 믿음이란? (1) | 2025.05.22 |
[믿음] 믿음이 성도/죄인을 구원하는가? (2) | 2025.05.22 |
[믿음] 참된 믿음과 왜곡된 능력 중심 신앙 (비교/요약) (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