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성경 기본 개념_단어 이해/온유 (Meakness)

[온유] 온유1 : 온유란 (뜻과 성경 사례)

thelmaoath 2025. 5. 29. 05:47

 

1. ‘온유’의 원어와 어원 분석

‘온유’는 신약성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헬라어 πραΰς (praÿs) 또는 **πραΰτης (praÿtēs)**에서 유래된 단어임. 이 단어는 영어 성경에서는 "meekness" 혹은 "gentleness"로 번역되며, 단순히 성격이 유순하거나 소심하다는 뜻이 아님.

  • **πραΰς (praÿs)**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원래 야생 동물을 길들여 순하게 만든다는 의미에서 유래함. 즉, 강한 힘이나 본성을 억제하여 절제된 상태를 뜻함.

    => 야생돌물과 같은 죄인이 말씀을 통해 야생적 본성인 죄성을 성령의 도움으로 다스려 말씀에 굴복/순종 함으로써

         자신을 절제하는 상태를 말함 

 

  • 이 단어는 헬라 철학에서 덕목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리스 철학에서는 ‘격노하거나 분노하지 않는 품성’을 가리켰음.
  • 따라서 온유함은 본질적으로 힘이 없어서가 아니라, 힘을 절제할 줄 아는 상태를 의미함.

2. 성경이 말하는 온유의 의미

성경에서는 온유를 단지 성격상의 ‘유순함’이 아닌, 하나님 앞에서의 겸손함과 이웃을 향한 절제된 태도로 표현함.

 

(1) 구약에서의 온유

  • 민수기 12:3
    “이 사람 모세는 온유함이 지면의 모든 사람보다 더하더라.”
    → 여기서 ‘온유함’은 히브리어 **‘עָנָו (anav)’**로, 겸손하고 자신을 낮추는 태도를 뜻함. 모세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복하며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지 않고 인내했던 대표적인 인물임.

(2) 신약에서의 온유

  • 마태복음 5:5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 예수님이 말씀하신 온유한 자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낮추고, 사람 앞에서는 보복하지 않고 참는 자를 의미함.
  • 갈라디아서 5:23
    성령의 열매 가운데 “온유”가 포함됨
    → 이는 성령으로 거듭난 자에게서 드러나는 내적 성품으로서, 자기를 주장하지 않고 하나님과 이웃 앞에서 순복하는 태도임.
  • 베드로전서 3:4
    “온유하고 안정한 심령은 하나님 앞에서 값진 것이라”
    → 온유는 단지 외적 태도가 아니라, 마음의 중심에서 흘러나오는 인격의 상태임.

3. 온유의 성경적 특징 요약

구분 온유의 의미 성경적 사례
원어 의미 절제된 힘, 통제된 본성 πρᾳΰς (praÿs), עָנָו (anav)
하나님 앞 태도 자기를 낮춤, 순복 모세, 예수님
사람 앞 태도 보복하지 않음, 인내 마 5:5, 벧전 3:4
성령의 열매 거듭남으로 생기는 성품 갈 5:23
 

결론 

성경에서 말하는 온유함은 단순히 유순하거나 소극적인 성격이 아니라, 강한 힘을 지녔음에도 그것을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절제하고 순복하는 태도를 의미함. 이는 인간적인 나약함이 아닌, 성령으로부터 비롯된 거룩한 인격의 열매이며, 구약의 모세와 신약의 예수님에게서 그 완전한 본보기를 찾을 수 있음.


1. Original Word and Etymology of “Meekness”

The word “meek” in the New Testament is typically translated from the Greek πραΰς (praÿs) or its noun form πραΰτης (praÿtēs). Contrary to modern misunderstandings, this word does not imply weakness or passivity.

  • πραΰς (praÿs) originally described tamed wild animals—those that retain strength but submit it under control.
  • Thus, biblical meekness means strength under control, not the absence of strength.

2. Biblical Meaning of Meekness

In the Bible, meekness is presented as humility before God and restrained gentleness toward others.

(1) In the Old Testament

  • Numbers 12:3
    “Now the man Moses was very meek, more than all people who were on the face of the earth.”
    → The Hebrew word here is ‘עָנָו (anav)’, which signifies humble submission before God. Moses exemplified meekness in his surrender to God’s will and in not defending his personal rights.

(2) In the New Testament

  • Matthew 5:5
    “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 Jesus refers to those who humbly trust in God and do not retaliate against others, even under injustice.
  • Galatians 5:23
    Meekness is listed among the fruit of the Spirit, signifying that it is a trait born out of regeneration.
  • 1 Peter 3:4
    “A gentle and quiet spirit, which in God’s sight is very precious.”
    → Meekness is an inward, godly quality rather than just an outward manner.

3. Summary of Biblical Meekness

CategoryMeaningBiblical Example
Original word Strength under control πρᾳΰς (praÿs), עָנָו (anav)
Toward God Humble submission Moses, Jesus
Toward others Non-retaliation, patience Matthew 5:5, 1 Peter 3:4
Spiritual origin Fruit of the Spirit Galatians 5:23
 

Conclusion (English)

Biblical meekness is not about weakness or passivity but about restrained strength and humble submission under God's will. It is a fruit of the Holy Spirit and one of the most precious traits in God's sight, perfectly exemplified in Moses and ultimately in Jesus Chr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