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사랑 1 (시대별, 문화별 사랑에 대한 이해)
1️⃣ 구약에서의 ‘사랑(אַהֲבָה, Ahavah)’ 이해
🔹 히브리어 **אהבה (ahavah, 아하바)**의 본질
- 어원적 의미: “끌어당기다, 기꺼이 주다”에서 파생됨
- 사랑은 감정이 아닌 의지적 선택과 언약적 헌신임
=> 언어의 원뜻을 곱씹어보면, => 하나님께서 관계가 단절된 죄인들을 자신에게 다시 끌어오기위해 예수그리스도를 기꺼이 준것이 구약에서의 아하바(사랑)의 본질임
🔹 특징적 개념: 언약적 사랑 + 행동으로 드러나는 충성
1) 예시 1: 신명기 6:4–5 — 쉐마 (이스라엘의 신앙 고백)
“이스라엘아 들으라...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ahavah)”
- 여기서 사랑은 단순히 “좋아하는 감정”이 아니라,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지키는 순종의 태도임
- 사랑 = 하나님께 전인격적 충성을 바치는 것
2) 예시 2: 신명기 10:12–13
“네 하나님 여호와를 경외하며 그 모든 도를 행하고 그를 사랑하며,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섬기며...”
- 사랑은 율법을 따르는 삶의 방식으로 드러남
3) 예시 3: 호세아 11:1–4
“내가 이스라엘을 사랑하여 그들을 이집트에서 이끌어냈다... 나는 사랑으로 그들을 이끌었다”
- 하나님의 **chesed(인애, 언약적 자비)**와 **ahavah(사랑)**이 함께 나타남
- 사랑은 감정적 열정보다 언약을 끝까지 지키는 일방적이고 신실한 충성임
[참고] 고대 근동의 종주권-봉신 조약에서 '사랑'(아하바)은 봉신이 종주에게 바치는 충성심과 순종을 묘사하는 데 사용됨.
이는 하나님을 향한 사랑 명령에 무조건적인 충성과 봉사를 의미함. 즉, 언약적 '사랑'은 율법의 준수를 통해 증명되는 것임
[구약시대 히브리인의 사랑 이해] 감정이 아닌 언약적 헌신과 책임
히브리 문화에서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동으로 드러나는 의지적 결단임. 즉,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지키는 충성이 사랑의 본질이었음.
🔹 대표 성경 구절: 신명기 7:7–9
“여호와께서 너희를 사랑하시고... 이는 너희 조상들과 세우신 언약을 지키기 위함이라”
- 사랑은 언약에 충실한 하나님의 의지적 결정임
- 인간의 사랑도 율법 지킴(순종)과 공동체 책임으로 나타남
🔹 히브리인에게 사랑은 ‘세 가지 방식’으로 실현됨
- 하나님 사랑 (쉐마 - 신 6:5): 전인격적 헌신
- 이웃 사랑 (레 19:18): 공동체 내 정의와 친절
- 약자 사랑 (출 22:21–27): 고아, 과부, 나그네에 대한 돌봄
[구약적 사랑의 범주화] 사랑의 세 가지 차원
히브리인들은 사랑을 철학적으로 분류하지 않았지만, 관계와 언약 중심의 세 가지 축으로 이해했음.
차원 | 내용 | 성경근거 |
하나님과의 관계 | 예배, 순종, 충성 | 신 6:5, 출 20:6 |
가족 및 공동체 | 의무, 배려, 충성 | 잠 13:24, 레 19:18 |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 | 자비, 정의 | 미 6:8, 신 24:17–22 |
→ 이들은 모두 율법에 기초한 사랑이며, 감정보다는 실천이 강조됨
🔹 범주 재요약
사랑의 대상 | 히브리어 | 설명 |
하나님 | אהבה (ahavah), חסד (chesed) | 전인격적 헌신과 순종, 언약 지킴 |
가족, 자녀 | ahavah | 부모와 자녀 간의 돌봄과 양육 중심 사랑 |
이웃 | ahavah | 공동체를 위한 배려, 정의 실현 |
타국인/약자 | hesed | 약자에게 인애를 보이는 언약적 책임 |
3️⃣ 예수님 시대 유대인의 사랑 이해
🔹 예수님 시대 유대교의 세 분파와 사랑의 실천 방식
유대분파 | 사랑의 이해 | 예시 |
바리새인 | 하나님과 율법에 대한 열심 → 율법 지킴이 사랑의 표현 | “율법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곧 하나님 사랑이다” |
사두개인 | 성전 중심 제사 →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가 사랑의 표현 | 예루살렘 성전 제사에 집중 |
에세네파 | 순결하고 구별된 공동체 생활을 통해 하나님 사랑 | 공동체 내에서 사랑과 경건 추구 |
🔹예수님의 혁신: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통합 (마 22:37–40)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네 이웃을 네 자신같이 사랑하라”
- 예수님은 쉐마 + 레위기 19:18을 하나로 묶어 사랑의 핵심 윤리로 선언하심
- 마 22:37–40: “이 두 계명이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라”
- 사랑은 하나님께 대한 전적 헌신 + 이웃을 향한 실천적 배려임
→ 이 말씀은 바리새인의 형식적 순종을 넘어서는 실천적 사랑으로의 대 전환이었음
4️⃣ 헬레니즘 세계(로마인들의 사랑)에서의 ‘사랑’과 유대인의 차이
🔹 헬라 철학(로마인들의) 의 사랑의 이해
종류 | 설명 |
eros | 육체적/낭만적 사랑 (플라톤은 영적 사랑으로 승화) / 육체와 감정을 넘어선 이상적인 사랑 |
philia | 우정 / 친구 간의 우정적 사랑 |
storge | 가족애 / 가족 간 자연적 애정 |
agape | 희생적, 무조건적 사랑 (성경에서 의미 확대됨) / 헬라 세계에서는 드물게 쓰이던 말, 신약에서 재정의됨 |
🔹 유대인과의 차이점
구분 | 헬라적 사랑 | 유대적 사랑 |
중심 | 감정, 미학, 이상 | 언약, 충성, 행위 |
대상 | 인간 간 관계 강조 | 하나님과의 관계 우선 |
실천 | 개인 중심 (철학적 탐구) | 공동체 중심 (율법적 순종) |
예수님은 이 헬레니즘 세계와 유대인의 율법 중심 세계 사이에서 진정한 사랑은 언약에 기반한 하나님 중심 사랑이며, 이웃 사랑으로 이어진다고 선포하심.
✅ 요약
▶ 히브리인의 사랑 개념
- 감정이 아니라 언약, 책임, 실천 중심
- 율법 순종이 사랑의 표현
▶ 예수님 시대 유대인
- 다양한 분파들이 사랑을 하나님과의 관계 실천으로 강조
- 예수님은 그것을 이웃 사랑으로 확장하며, 사랑이 율법의 완성임을 선포
▶ 로마/헬라 세계 속 유대인
- 헬레니즘 영향 속에서도 감정보다 언약 중심 사랑 유지
- 그러나 agape 개념은 신약에서 새롭게 확장되어, 헬라어 세계 속에서도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내는 사랑으로 발전
- 예수님은 구약적 사랑의 정의를 이웃 사랑까지 확장하며 핵심 윤리로 제시
- 로마 제국의 헬레니즘 영향 속에서도 유대인은 율법과 언약 중심의 사랑 개념을 유지했으며, 예수님은 이것을 온전히 성취하고 재해석하심
1️⃣ How Hebrews Defined “Love” (Ahavah)
🔹 Hebrew Word: אַהֲבָה (ahavah)
- Root meaning: “to give,” “to draw toward”
- Love was not primarily emotion, but covenantal loyalty and willful devotion
🔹 Key Verse: Deuteronomy 6:4–5 (Shema)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soul, and strength.”
- Love meant total, covenantal obedience to God
- It was shown in faithful action, not feelings
2️⃣ Categories of Love in Hebrew Thought
God | ahavah, chesed | Full devotion and covenant loyalty |
Family | ahavah | Nurturing and protective love |
Neighbor | ahavah | Justice, kindness, mutual aid |
Stranger | chesed | Mercy toward the vulnerable |
Love was always tied to covenantal responsibility and righteous conduct.
3️⃣ Jewish Understanding of Love in Jesus’ Time
🔹 Three Main Groups:
Pharisees | Love = Law obedience | Show love through purity and rules |
Sadducees | Love = Temple worship | Sacrifices express love to God |
Essenes | Love = purity and community faithfulness | Isolated, devoted communal life |
🔹 Jesus’ Teaching (Matt 22:37–40)
- Combined Deut. 6:5 and Lev. 19:18
- Love is both devotion to God and practical kindness to neighbor
- True love = covenant faithfulness in relationship + selfless action
4️⃣ Roman World vs. Jewish Love
Basis | Emotion, philosophy | Covenant, obedience |
Types | eros, philia, storge | ahavah, chesed |
Focus | Human-centered | God-centered |
Expression | Personal pursuit | Communal faithfulness |
Jesus redefined love not as Greek romantic ideals but as covenant-keeping loyalty and sacrificial service, fulfilling the Torah.
✅ Summary
- Hebrew love (ahavah) was covenantal, relational, and action-based
- Not a feeling, but a commitment to righteousness, God, and others
- Jesus upheld and expanded this, teaching love of God and neighbor as the foundation of the law
- In contrast to Roman/Greek emotional ideals, Jewish love emphasized faithfulness and obedience